반응형
백준 1012번 문제입니다. (solved.ac)기준 실버 2 문제입니다.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012
1012번: 유기농 배추
차세대 영농인 한나는 강원도 고랭지에서 유기농 배추를 재배하기로 하였다. 농약을 쓰지 않고 배추를 재배하려면 배추를 해충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, 한나는 해충 방지에
www.acmicpc.net

예제 입력 1 :
2
10 8 17
0 0
1 0
1 1
4 2
4 3
4 5
2 4
3 4
7 4
8 4
9 4
7 5
8 5
9 5
7 6
8 6
9 6
10 10 1
5 5
예제 출력 1 :
5
1
첫번째 줄에는 테스트 케이스 T를 입력하고
( //로 감싸여 있는 세 줄은 테스트 케이스(T)만큼 반복합니다.)
// 두번째 줄에는 배추를 심은 배추밭의 가로길이 M, 세로길이 N, 배추가 심어진 위치의 개수 K를 입력합니다.
범위는 (1 <= M, N <= 50) / (1 <= K <= 2500) 입니다.
세번째 줄 부터는 K번 반복하여 배추의 위치 X(0 <= X <= M-1) , Y(0 <= Y <= N-1) 를 입력합니다. //
문제에서 배추들이 모여있는 곳에는 배추흰지렁이가 한 마리만 필요하다고 알려주었기 때문에 저는 이 문제를 배추가 있는 곳을 탐색할 때 인접한 배추들을 확인한 후 묶고(인접한 배추들 모두 1 -> 0으로 변환하여 다음 탐색 간에는 넘어갈 수 있도록) 그 배추 묶음당 필요한 배추흰지렁이가 1마리씩 증가하는 식의 방법으로 접근하였습니다.
[백준] 2267번 문제인 단지번호붙이기와 동일한 방식(DFS 알고리즘)으로 문제에 접근하였습니다.
'''
T는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
M, N, K는 각각 배추밭의 가로길이(M), 세로길이(N), 배추가 심어져 있는 위치의 개수(K)
'''
import sys
# 재귀 호출 최대 횟수 늘려주기
sys.setrecursionlimit(10**7)
T = int(sys.stdin.readline().rstrip())
# 필요한 배추흰지렁이의 수를 담을 변수
# 인접해 있는 배추들을 확인 및 묶은 후 배추묶음 당
# 필요한 배추흰마리 1마리 증가
cnt = 0
def dfs(x, y):
# 범위를 넘어가면 즉시 탐색 종료
if x <= -1 or x >= N or y <= -1 or y >= M:
return False
# 배추가 있는 곳(1)이라면 확인(방문)했다는 의미로 0으로 변경
# 주변(상,하,좌,우)도 배추가 있는지 확인
# 주변에도 배추가 있다면 그 배추또한 0으로 값을 변경(반복)
# 주변의 배추들을 모두 확인하는(1 -> 0)과정을 통하여
# 인접해있는 배추들 모두 0으로 바꾸어(방문판정)
# 다음 탐색간에는 False를 반환하여
# 한 번만 True값을 반환하게 해줌.
if graph[x][y] == 1:
graph[x][y] = 0
dfs(x - 1, y)
dfs(x + 1, y)
dfs(x, y - 1)
dfs(x, y + 1)
# True반환당 배추흰지렁이(cnt) 1 증가
return True
return False
# 테스트 케이스(T)만큼 반복
for _ in range(T):
M, N, K = map(int,sys.stdin.readline().rstrip().split())
# 리스트 컴프리핸션으로 2차원 리스트 모두 0으로 초기화
graph = [[0] * (M) for _ in range(N)]
# 배추가 심어져 있는 위치의 개수(k) 만큼 배추를 심음
# 위치를 입력 받아 그 위치의 0 을 1로 변경
for _ in range(K) :
x, y = map(int, sys.stdin.readline().rstrip().split())
graph[y][x] = 1
'''아래와 같이 2차원 리스트를 생성
[
[1, 1, 0, 0, 0, 0, 0, 0, 0, 0],
[0, 1, 0, 0, 0, 0, 0, 0, 0, 0],
[0, 0, 0, 0, 1, 0, 0, 0, 0, 0],
[0, 0, 0, 0, 1, 0, 0, 0, 0, 0],
[0, 0, 1, 1, 0, 0, 0, 1, 1, 1],
[0, 0, 0, 0, 1, 0, 0, 1, 1, 1],
[0, 0, 0, 0, 0, 0, 0, 1, 1, 1],
[0, 0, 0, 0, 0, 0, 0, 0, 0, 0],
]
'''
# 범위를 탐색하며 배추묶음(인접한 배추들) 당
# 필요 배추흰지렁이(cnt)값 1 증가
for i in range(N) :
for j in range(M) :
if dfs(i,j) == True :
cnt += 1
print(cnt)
# 다음 테스트 케이스(T)의 필요 배추흰지렁이(cnt)는 처음부터 세야하므로
# 필요 배추흰지렁이(cnt)는 0으로 초기화
cnt = 0
반응형
'알고리즘 문제풀이[Algorithm]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백준] 2178번 미로 탐색(BFS알고리즘)(Python - 파이썬) (0) | 2022.01.14 |
---|---|
[백준] 18352번 특정 거리의 도시 찾기(BFS알고리즘)(Python - 파이썬) (0) | 2022.01.12 |
[백준] 2667번 단지번호붙이기(DFS알고리즘)(Python - 파이썬) (0) | 2022.01.09 |
[백준] 2851번 슈퍼 마리오(Python - 파이썬) (0) | 2022.01.07 |
[백준] 1748번 수 이어 쓰기 1(Python - 파이썬) (0) | 2022.01.07 |
최근댓글